분류 전체보기 95

(식품) 오리온

오리온 사업현황 주요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위키피디어 참조) 1934년 4월 - 경기도 경성부에서 풍국제과(주) 설립 1956년 7월 - 동양그룹 이양구 회장, 풍국제과(주) 인수 1956년 9월 - 풍국제과(주)에서 동양제과공업(주)로 상호 변경 1974년 4월 - 초코파이 생산을 시작 1986년 12월 - 동양제과공업(주)에서 동양제과(주)로 상호 변경 1987년 7월 - 미국 펩시코사와 합작하여 오리온프리토레이(주) 설립 1990년 6월 - 바이더웨이 설립 1995년 2월 - 미국 메트로미디어 레스토랑 그룹사의 베니건스와 프렌차이즈 계약 체결 1995년 12월 - 투니버스 개국 1995년 12월 - 오리온 중국법인 중국호려우식품유한공사(中國好麗友食品有限公司) 설립 1996년 3월 - 대구 ..

존 카터 코벨의 부여기마족과 왜(倭)

들어가며존 카터 코벨은 누구 보다도 일본의 문화를 사랑했고 열정적인 학자였다. 1941년 백인으로써는 처음으로 일본 미술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오랜 시간동안 일본의 스승들과 많은 학술 활동을 하였다. 그런데 37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치고 1978년 한국을 방문 후 일본 고 미술의 뿌리가 한국임을 깨닫고 자신의 연구 업적을 부정하는 활동을 하기 시작한다. 이 책은 한국 체류 후 오랜 컬럼 활동으로 연재되었던 그분의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미술품을 통하여 일본 그리고 한국의 문화 원류가 부여임을 알게 된 코벨 교수님은 글이나 서적으로는 알 수 없었던 고대의 수수께끼를 예술품이라는 단서로 거침없이 풀어 간다. 책의 내용을 요약하며 한국인 보다 한국을 사랑했던 그분의 생각을 따라가 본다.부여족과 말원래 일본..

존 카터 코벨

존 카터 코벨 (Jon Carter Covell, 1910 ~ 1996) 미국의 동양 미술사 학자이자 일본과 한국 역사와 문화의 연구자이다. 컬럼비아대에서 일본미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백인 최초의 일본학 박사이기도 하다. 일본문화를 연구하다가 그 근원인 한국문화에 심취해 깊이 있는 연구활동을 벌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원래부터 그가 한국 문화와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코벨 박사는 1978년 하와이 주립대학에서의 정년 퇴임 한 다음 날 풀브라이트 연구기금을 받은 경력 교수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하게 된다. 그런데 막상 한국 문화 현장에 발을 들여 놓게되자 그동안 그녀가 알아왔던 일본 것과 중국의 미술품들이 한국에서 망명했거나 또는 초청 받은 한국인 예술가들의 손에서 만들어 ..

(업계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KAI/ 현대로템/ 풍산

들어 가며 방위산업은 그동안 대 기업에는 큰 돈이 되지 않았던 사업이었다. 정부라는 안정적인 공급처가 있었지만 반대로 국가를 대상으로 큰 이윤을 남기는 것은 불가능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거에는 약간의 의무감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처럼 계륵으로 여기어지던 사업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다극화라는 세계 체제의 변화에 따른 국제 분쟁 그리고 유럽과 중동에서의 전쟁 발생이 내수가 아닌 수출이라는 새로운 판로를 열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이라는 하나의 고객만을 바라봐야 했던 방산 기업들에게는 일부 국가를 제외한 세계의 대부분의 '정부'들이 고객이 된것이다. 방위산업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기술의 발전이 우주항공, 모빌리티, 로봇 그리고 AI로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주항공의 발전은..

(투자) 현명한 투자자

들어가며 는 전세에서는 가장 유명한 투자자인 워렌버핏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책이고 저자인 벤자민 그레이엄은 워렌버핏의 실제 스승이기도 하다. 1949년에 처음 출판된 이후로 가치 투자와 안전 마진이라는 개념을 설명 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저서이기도 하다. 대가의 스승이 저술한 책을 반복해 읽었지만 아직도 태반의 내용을 이해하기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마지막 챕터에서 저자가 마무리하면서 언급한 세가지 내용은 앞서 기술한 책의 모든 내용 만큼 무게감이 느껴진다. 주가가 이미 상승해서 매력이 사라진 종목은 신속히 처분하라. 행운이나 지극히 예리한 판단 하나가 평생의 노력보다 중요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절제력을 갖춘 유능한 사람이 되라는 것이다. 공부를 위하여 각 챕터의 내용을 요약해 보..

(방위산업) LIG넥스원

사업 이력 (※ 참조 : 다음 / 위키피디어) LIG넥스원은 육해공 전 분야 무기체계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종합 방위산업체이다. 1976년 설립된 금성정밀공업(주)으로부터 시작되어, 1980년 4월 중앙연구소를 설립했다. 1983년 1월에는 사명을 금성정밀공업(주)에서 금성정밀(주)로 변경했다. 1991년 4월에는 금성전기로부터 방산 산업을 인수했다. 1995년에는 상호를LG정밀(주)로, 2000년에는 LG이노텍(주)으로 변경했다. 2004년에는 LG그룹 계열 분리 일환으로 LG이노텍(주)에서 방산사업부가 별도 법인으로 독립하여 넥스원퓨처(주)가 설립되면서 LIG그룹에 편입되었다. 네스원퓨처(주)는 2007년 다시 LIG넥스원(주)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2015년 10월 기업을 공개하고, 증권..

(신재생에너지) 한화솔루션

사업 이력 한화솔루션은 2020년 1월 1일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통합하여 설립된 글로벌 에너지·소재 기업입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기준으로 약 2만 3,000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회사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1965년 8월 : 한국화성공업(현 한화케미칼(주), 한화L&C) 설립 1974년 4월 : 한국종합화학(주) 소유의 한양화학(주) 주식 인수, 한양화학지주(주) 설립 1974년 6월 : 유가증권 상장 1984년 1월 : 한양화학(주), 한국다우케미칼(주), 한양화학지주(주) 등 3개사 합병 1994년 10월 : 한화종합화학으로 사명 변경 1999년 6월 : 한화석유화학으로 사명 변경(가공사업 부문 한화L&C로 분리) 2003년 7..

(스마트팜) 그린플러스

이력 그린플러스의 사업은 알루미늄사업부문과 스마트팜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미늄 압출작업과 가공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은 산업발전에 따라 전자, 자동차, 항공, 방산 등 산업용 소재로 사용될 만큼 그 용도가 다양화되어 있다. 스마트팜사업부문에서는 최첨단 온실에 적합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기획, 설계, 제작, 시공 등 전(全) 공정이 가능하여 맞춤식 첨단온실의 "one-stop-service"를 구현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형 스마트팜 산업인프라 구축 및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중 온실분야에 참여하여 해당 지역에 적합한 온실의 설계, 국산온실자재의 제작, 노후화된 온실의 교체 등의 온실의 시공분야와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양액시스템, 환경제어시스템, 자동관수시설 등의 시스템 일체를 제작 설치하는..

(기사) 美·中 반도체 갈등, 차세대 아키텍처 'RISC-V'로 번지나

美 정치권, 中에 대한 RISC-V 관련 조치 필요성 첫 언급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패권 경쟁이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처인 'RISC-V'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홍콩 SCMP(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 등이 9일 보도했다. SCMP는 로이터통신을 인용해 "미국 공화당·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국가안보상의 이유로 바이든 행정부에 RISC-V 관련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미국 정치인이 기술 표준에 대한 제한을 검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RISC-V는 지난 2010년 정립된 CPU(중앙처리장치)용 오픈소스 아키텍처다. 아키텍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의 구동 방식을 표준화한 규범으로 현재 인텔 x86, Arm 두 아키텍처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RISC-V는 기존 아키텍처와 달리 라이..

(에너지) SK 이노베이션

이력 SK이노베이션(SK Innovation)은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으로, SK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입니다. 1962년 대한석유공사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선경그룹(현 SK그룹)에 인수되어 1982년 유공으로 이름을 바꿉니다. 이후 1997년 SK주식회사로, 2011년에는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였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주요 사업으로는 석유, 화학, 배터리, 소재 등이 있으며, 전 세계 각국에서 석유 개발 및 생산, 정제, 유통, 화학물질 제조 및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업 구조 2011년 1월, SK이노베이션을 지주회사로 개편한 이후 석유사업 및 화학사업을 분사하였습니다. 2013년 7월, 2개 사업단위(E&P(석유개발), B&I(배터리와..

투자 2023.10.05

(배경) RISC-V CPU 기술

RISC-V는 2010년부터 미국의 UC 버클리에서 개발이 시작된 RISC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 기반의 개방형 명령어 집합 (ISA- Instruction Set Architecture)으로 컴퓨터 프로세서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표준 아키텍처입니다. V는 로마 숫자 5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RISC-V는 '리스크 파이브'라고 읽습니다. 이전 유사한 RISC 코어 계열 CPU는 아래와 같습니다. 1983년 ARM (Advanced RISC Machine, 최초 명칭: Acorn RISC Machine) : 컴퓨터과학자 윌슨(Wilson)과 스티브 퍼버(Steve Furber)를 주축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1990년 11월에 애플과 VLSI이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여 ARM(Ad..

HDR10+ 넥슨 퍼스트디센던트 홈페이지 오픈

HDR10+ GAMING을 최초로 적용한 퍼스트디센던트의 전용 홈페이지가 HDR10+ LLC. 내에 제작되어 공개되었다. 홈페이지는 퍼스트디센던트에 대한 홍보 문구과 HDR10+ GAMING의 장점 그리고 삼성전자의 관련 기사로 구성되어 있다. ‘퍼스트 디센던트’는 3인칭 루트슈터 게임으로, 넥슨게임즈의 슈팅게임 및 RPG 노하우를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넥슨은 오는 23일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 2023′의 삼성전자 부스에서 HDR10+ 게이밍 기술이 적용된 ‘퍼스트 디센던트’ 영상을 시연하였었다. THE FIRST DESCENDANT - HDR10+ (hdr10plus.org) THE FIRST DESCENDANT - HDR10+ NEXT-GEN GAMING WITH HDR10+ The Fi..

(반도체) 한미반도체

회사 개요 한미반도체는 대한민국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입니다. 곽노권 회장이 1980년 12월 24일 반도체 초정밀금형 및 반도체 자동화 장비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한미금형으로 창업한 것이 그 시초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 장비의 개발 및 생산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선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한미반도체 홈페이지) 2023 '한미베트남' 설립 2023 TechInsights 선정 'THE BEST Award', '10 BEST Award' 수상 2022 'micro SAW R&D 센터' 오픈 2022 TechInsights 선정 ‘THE BEST Award’, ‘10 BEST Award’ 수상 2022 micro SAW 'IR52 장영실상' 수상 2..

(신재생에너지) 씨에스윈드 (CS WIND)

씨에스 윈드는 한국의 해상풍력 타워 제조 기업으로, 2002년 설립되었습니다. 씨에스 윈드는 해상풍력 타워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기업으로, 유럽 시장에서 3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씨에스 윈드의 주요 제품은 해상풍력 타워입니다. 씨에스 윈드는 독자적인 기술과 설비를 기반으로, 고품질의 해상풍력 타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씨에스 윈드의 해상풍력 타워는 강도와 안전성이 우수하며, 효율적인 설계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씨에스 윈드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씨에스 윈드는 유럽, 아시아, 북미 등 전 세계에 20개 이상의 해외 지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씨에스 윈드는 향후에도 해상풍력 타워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할..

(기사) ARM “상장 후에도 라이선스 가격 변동 없다”… 리스크 털어낸 삼성전자

영국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 ARM이 상장 후에도 기존의 라이선스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면서 가격 인상설을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앞서 주요 외신에서는 퀄컴과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는 ARM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기업공개(IPO) 이후 라이선스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한 바 있다. ARM은 지난 14일(현지시각) 뉴욕 증시에 입성했다. 스마트폰의 두뇌 격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비롯해 자동차용 프로세서 등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상당 부분을 ARM IP에 의존하고 있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중장기적 리스크가 하나 해소된 셈이다. ◇”라이선스 방식은 그대로 두고 생태계만 키운다” 딥티 바차니(Dipti Vachani) ARM 수석 부사장은 지난 15일 열린 아시아지역 온라인 기자간담회..

(분석) 칩렛(Chiplet)과 반도체 패키징 기술

칩렛 기술은 패키징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칩렛 기술은 CPU, GPU, 메모리 컨트롤러 등 기능별로 칩렛을 분리하여 제조하고, 이를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칩렛 기술의 발전은 패키징 기술의 발전을 필요로 합니다. 칩렛 패키징 기술은 칩렛 간 연결 기술, 칩렛 배열 기술, 칩렛 테스트 기술로 구성됩니다. 칩렛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패키징 기술은 다음과 같은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칩렛 간 연결 기술의 발전: 칩렛 간 연결 기술의 발전은 칩렛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칩렛 배열 기술의 발전: 칩렛 배열 기술의 발전은 칩렛의 크기와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칩렛 테스트 기술의 발전: 칩렛 테스트 기술의 발전은 칩렛의 수율을 향상시킵니다. 칩렛 기술과 패..

(기사) AMD·엔비디아도 밀고있는 반도체 기술, '칩렛'이란?

그간 반도체 업계의 성장세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을 따랐다. 무어의 법칙은 1965년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가 제창한 법칙으로, 2년마다 반도체 집적회로에 탑재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두배씩 증가한다는 관측이다. 현재는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가격은 반으로 떨어진다는 개념이 통용되고 있다. 이 법칙은 비교적 적중하여 2020년까지는 꾸준히 맞아떨어졌다. 하지만 2020년 이후부터는 기술적 한계에 부딪히면서 깨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나노 공정이 심화될수록 회로를 구성하는 원자의 전자가 다른 곳으로 뛰어버리는 양자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성능 향상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무어의 법칙이 완전히 깨지진 않았지만, 2배를 달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갈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