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기업분석)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한화솔루션

Ever New 2023. 10. 17. 19:17

출처 : 한화솔류션 홈페이지

사업 이력

한화솔루션은 2020년 1월 1일 한화케미칼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통합하여 설립된 글로벌 에너지·소재 기업입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기준으로 약 2만 3,000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회사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 1965년 8월 : 한국화성공업(현 한화케미칼(주), 한화L&C) 설립
  • 1974년 4월 : 한국종합화학(주) 소유의 한양화학(주) 주식 인수, 한양화학지주(주) 설립
  • 1974년 6월 : 유가증권 상장
  • 1984년 1월 : 한양화학(주), 한국다우케미칼(주), 한양화학지주(주) 등 3개사 합병
  • 1994년 10월 : 한화종합화학으로 사명 변경
  • 1999년 6월 : 한화석유화학으로 사명 변경(가공사업 부문 한화L&C로 분리)
  • 2003년 7월 : 중국 허화무역(상하이) 유한공사 설립
  • 2009년 4월 : 태국 ASR 공장 준공
  • 2010년 3월 : 한화케미칼(주)로 사명 변경
  • 2010년 8월 : 솔라펀 파워홀딩스(현, 한화큐셀) 인수
  • 2010년 10월 : 중국 닝보 PVC 공장 준공
  • 2011년 9월 : 크리스탈 솔라 지분 인수
  • 2012년 8월 : 독일 큐셀 인수
  • 2013년 2월 : 말레이시아 판매법인 설립
  • 2014년 10월 : KPX화인케미칼 인수 후 한화화인케미칼로 사명 변경
  • 2015년 1월 : 한화솔라원과 한화큐셀 통합 한화큐셀 출범
  • 2015년 4월 : 인터내셔널폴리머스(IPC) 석유화학제품 상업생산 돌입
  • 2015년 5월 : 삼성토탈, 삼성종합화학 인수
  • 2016년 2월 : 한화화인케미칼(주) 흡수합병
  • 2020년 1월 : 한화케미칼(주)-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흡수합병하면서 '한화솔루션(주)'으로 출범
  • 2021년 4월 : 한화솔루션(주)-한화갤러리아 및 한화도시개발 자산개발 사업부문 흡수합병
  • 2022년 1월 : 도시개발, 인사이트로 부문명 변경(도시개발 부문, 큐셀 부문 GES사업부, 갤러리아 부문 프리미엄라이프스타일사업부 재편)
  • 2022년 7월 : 큐에너지, 큐셀 유럽 법인 발전사업부문과 프랑스 RES 통합하여 큐에너지 부문 출범
  • 2022년 12월 : 첨단소재 물적분할
  • 2023년 3월 : 갤러리아 인적분할

사업의 구성

한화솔루션은 크게 4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됩니다.

  • 케미칼 부문은 석유화학, 첨단소재, 전자소재 등을 생산하는 사업부문입니다.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TDI, ASR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유럽, 미국, 중국 등 전 세계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 큐셀 부문은 태양광 모듈, 태양광 패널 등을 생산하는 사업부문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글로벌 모듈 생산능력은 12.4GW이며, 유럽,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 인사이트 부문은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금융 등을 제공하는 사업부문입니다. 태양광 발전소 개발,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 태양광 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큐에너지 부문은 태양광 발전소 개발, 운영,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는 사업부문입니다. 국내외에서 다양한 태양광 발전소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기준으로 총 1.2GW의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성장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탄소 저감 기술 개발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2023년 상반기 태양광 산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340~360GW로 전년 대비 20~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태양광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기후변화 대응: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기술 발전: 태양광 모듈의 효율이 향상되고, 가격이 하락하면서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정부 정책 지원: 각국 정부는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기 위해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계 태양광 산업의 주요 국가로는 중국, 미국, 인도, 유럽 등이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태양광 모듈 생산국으로, 2023년에도 태양광 발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2022년 기준으로 세계 2위의 태양광 발전 시장으로,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2023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는 빠르게 성장하는 태양광 발전 시장으로, 2023년에도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고 있으며, 2023년에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 세계 5위의 태양광 발전 시장으로, 2023년에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 비중을 3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세계 태양광 산업은 2023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후변화 대응, 기술 발전, 정부 정책 지원 등 다양한 요인이 세계 태양광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http://www.goldenpia.co.kr/default/02/menu01.php

문제는 최근의 태양광 모듈 공급 과잉에 따른 모듈 가격의 하락입니다. 태양광 모듈 공급이 과잉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의 대규모 투자: 중국은 세계 최대의 태양광 모듈 생산국으로, 2022년에는 전 세계 태양광 모듈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태양광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태양광 모듈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태양광 발전의 확대: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모듈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지만, 중국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 증가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 원자재 가격 상승: 태양광 모듈의 주요 원자재인 폴리실리콘, 웨이퍼, 태양전지 셀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모듈의 제조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태양광 모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태양광 모듈 공급 과잉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태양광 산업의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의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고 있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장기적으로는 공급 과잉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각국의 태양광 발전 확대 정책이 지속되고 있고, 태양광 모듈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경제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태양광 산업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쟁사 

2023년 9월 기준, 한화솔루션은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점유율 3위의 기업입니다. 1위는 중국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2위도 중국의 JA Solar입니다.

한화솔루션은 2022년에도 세계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점유율 3위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에는 중국의 태양광 모듈 기업들이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한화솔루션의 순위가 하락했지만, 여전히 세계 3대 태양광 모듈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태양광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10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매출 추이

한화솔루션은 2022년 기준으로 매출액 13조 6,000억원, 영업이익 2조 3,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에도 2분기 보고서에 의하면 한화솔루션은 2023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조 3,930억원, 영업이익 1,9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8.7% 감소했습니다.

출처 : 투데이에너지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63057)

사업별로 살펴보면, 케미칼 부문은 매출액 2조 1,220억원, 영업이익 1,2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2.6% 감소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큐셀 부문은 매출액 1조 2,710억원, 영업이익 69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0%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92.0% 증가했습니다. 전 세계적인 태양광 수요 증가와 원가 절감 노력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인사이트 부문은 매출액 2,000억원, 영업손실 1,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4%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99.3% 증가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개발 사업의 손실이 확대된 영향입니다.
큐에너지 부문은 매출액 1,000억원, 영업손실 2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0.0%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200.0% 증가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운영 사업의 손실이 확대된 영향입니다.
한화솔루션은 2023년에도 친환경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태양광,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고, 탄소 저감 기술 개발에도 투자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3조 3,9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8.7% 감소한 1,9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케미칼 부문은 매출액 2조 1,220억원, 영업이익 1,2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큐셀 부문은 매출액 1조 2,710억원, 영업이익 69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인사이트 부문은 매출액 2,000억원, 영업손실 1,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 큐에너지 부문은 매출액 1,000억원, 영업손실 2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전망

한화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사업 네트워크: 전 세계 60여 개국에 진출하여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기술력: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사업: 태양광, 수소 등 친환경 사업을 확대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긍정적인 예측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한화솔루션의 주가 하락은 다음과 같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단기적인 실적 부진: 한화솔루션은 2023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조 3,930억원, 영업이익 1,9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8.7% 감소했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 태양광 모듈의 공급과잉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화솔루션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시장의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침체, 인플레이션 상승, 공급망 차질 등 다양한 불확실성이 시장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주가 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전망은 밝지만, 단기적인 실적 부진과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태양광 시장의 성장과 한화솔루션의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해 주가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기사

한화솔루션, 美 태양광 모듈 생산 5배↑…"IRA 인센티브 연 1조원"

https://biz.sbs.co.kr/article/20000139675

 

한화솔루션, 美 태양광 모듈 생산 5배↑…"IRA 인센티브 연 1조원"

[공사 중인 한화솔루션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 공장 전경 (한화솔루션 제공=연합뉴스)]한화솔루션이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생산 능력을 5배 늘립니다.한화솔루션은 올해 상반기

biz.s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