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한화엔진(082740)은 2023년 한화그룹에 편입되며 본격적인 성장 전략을 가동 중인 선박용 엔진 전문 제조업체입니다. 과거 HSD엔진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저속 디젤 및 이중연료(DF, Dual Fuel) 엔진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으로는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소가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선박용 메탄올·LNG 기반 DF 엔진의 수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한화그룹의 조선소 (예: Philly Shipyard)와 연계해 미국 해양 방위시장 진출 가능성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2. 매출 구성 및 주요 고객
□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매출액: 3,182억 원 (전년 동기 대비 +8.5%)
- 영업이익: 223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4.9%)
- 당기순이익: 19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0.5%)
항목 | 수치 | 전년 동기 대비 | 센서스 대비 |
매출액 | 3,182억 원 | +8.5% | -0.4% (부합) |
영업이익 | 223억 원 | +14.8% | +7.8% 상회 |
영업이익률 | 7.0% | (↑ 0.4%p YoY) | 개선 |
당기순이익 (추정) | 약 194억 원 | +30.5% |
이는 고수익성 이중연료(DF) 엔진 수주 증가와 평균판매단가(ASP) 상승, 환율 효과 등에 기인합니다.
□ 주요 고객 및 수출 구조
- 주요 고객사:
- 한화오션 (매출 비중 약 33.5%)
- 삼성중공업 (매출 비중 약 25.1%)
- 기타 국내외 조선소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약 34%
부문 | 주요 내용 | 매출 비중 추정 |
신조용 DF 엔진 | LNG/메탄올 기반 이중연료 엔진 | 약 65% |
애프터마켓(AM) | 부품 교체, 정비, 리퍼비시 등 | 약 20~25% |
기타 | 조선 부속품 및 일반 산업용 등 | 약 10~15% |
특히, 삼성중공업과의 거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및 북미 시장에서도 수주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시장 및 산업 환경
□ 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
글로벌 해운 수요 회복과 함께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발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엔진 수요 증가
한화엔진은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이중연료(DF) 엔진 및 메탄올 기반 엔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신규 수주의 약 88%가 DF 엔진이며, 이 중 95% 이상이 컨테이너선에 탑재될 예정입니다.
한화엔진, 1Q에만 '1조 이상' 수주…역대 최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한화엔진이 친환경 엔진 수요와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올해 1분기에만 1조원 이상의 신규 수주액을 달성했다. 역대 최대치로, 2023년 한 해 수주규모(1조2440억원)에 필적한다.23일 한화엔진에 따르
www.thelec.kr
4. 투자 포인트 요약
□ 강점 요약
- 친환경 DF 엔진 수주 확대:
2025년 1분기 신규 수주 1조 587억 원 중 88%가 DF 엔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1.6% 증가하였습니다. - 수주잔고 사상 최대치 경신:
2025년 1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4조 1,138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21.6% 증가하였습니다. - 고수익성 프로젝트 비중 증가:
메탄올 기반 고마진 프로젝트 수주 확대와 환율 상승 효과로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 한화그룹 시너지 효과:
한화오션, 한화임팩트 등 그룹 내 계열사와의 협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요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투자 리스크 요인 및 제언
□ 리스크 요인
- 조선업 경기 변동성: 글로벌 경기 침체 시 선박 발주 감소로 인한 수주 감소 가능성
- 기술 개발 리스크: 메탄올 및 암모니아 기반 엔진 개발의 기술적 난이도와 상용화 지연 가능성
- 환율 변동성: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영향
□ 제언
한화엔진은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와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실적과 수주잔고 모두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DF 엔진 중심의 고수익성 프로젝트 비중 확대와 한화그룹 내 시너지 효과로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조선업 경기 변동성과 기술 개발 리스크 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투자 > (기업분석) 방위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위산업) 한화시스템 (12) | 2025.06.23 |
---|---|
(방위산업) 한국항공우주 - KAI (15) | 2024.09.16 |
(방위산업)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HANWHA AEROSPACE) (15) | 2024.09.10 |
(방위산업) 풍산 (20) | 2024.09.08 |
(방위산업) 한화오션 (6)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