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기업분석) 이차전지

(이차전지) SK이노베이션

Ever New 2024. 3. 4. 03:15

사업 이력

SK그룹 석유화학 사업부문의 중간 지주회사이다.
  • 1962년 정부가 미국 걸프 오일사와 합작해 세운 '대한석유공사'가 모태이다. 1964년 석유배급업체 대한석유저장회사 자산과 시설 등을 인수한 뒤 1971년 석유판매업체 흥국상사를 인수했으며, 1976년 산업은행 주식도 인수해 '대한석유지주'를 세웠다. 1980년 걸프 철수 후 선경이 구 걸프 주식을 인수해 민영화했다. 1982년 유공해운을 세우고 (주)유공으로 사명을 바꾼다. 1984년 예멘 마리브 유전을 시초로 해외 석유시추개발에 나섰고, 1985년에 대한석유지주를 합병한 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한 뒤, 자회사 유공가스도 설립했다. 1987년에 미국 아코 케미칼과 합작해 유공아코화학을 세웠고, 1989년 일본 스미토모화학과 합작해 유공에라스토머를 세운 뒤 이듬해 전산부문을 YC&C로 분사시켰다.
  • 1991년 유공하이몬트와 유공훅스를 세운 후 1992년에 대한텔레콤 설립을 주도하며 제2이동통신 사업을 따내려 했으나, 당시 특혜 논란으로 실현하지 못했다. 1993년에 '바이오텍사업부'를 신설하고 동산C&G와 함께 세계 최초의 가습기 살균제인 '가습기 메이트' 및 곰팡이 제거제 '팡이제로'를 출시해 생활용품 사업에 발을 들여놓은 후 1994년부터 한국이동통신을 인수해 민영화시킨 뒤 대덕기술원을 세웠다. 1997년 미국 휴스턴에 현지법인 'SK E&P'를 세웠다.
    1997년 10월 1일부터 유공, 유공해운, 삼일사, 유공가스를 SK주식회사, SK해운, SK에너지판매, SK가스로 CI 체계를 각각 변경하고, 2000년 바이오텍사업부를 SK케미칼에 넘기며 SK에너지판매를 SK글로벌에 합병시켰다. 2001년 대한송유관공사의 경영권을 인수했고, 2006년 3월에 옛 현대오일뱅크 자회사였던 인천정유를 인수했다.
  • 2007년 존속법인은 SK주식회사라는 사명을 유지한 채 지주사로 전환됐고 사업자회사로 舊 SK에너지가 분리/신설되었다. SK에너지는 2008년에 SK인천정유를 합치며 프로축구단 사업을 신규법인 제주유나이티드FC(주)로, OK캐시백과 텔레매틱스 '엔트랙' 사업을 SK마케팅앤컴퍼니, 렌터카 '카티즌' 사업을 SK네트웍스로 각각 넘겼다.
  • 2011년 1월 SK에너지도 중간지주사로 전환하며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주요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新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를 각각 출범시켰고, 석탄/광물사업을 SK네트웍스로 넘겼다. 2013년 7월에 SK인천정유를 사명변경후 재분리하여 5개 자회사(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석유화학,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체제로 재편하였다.

사업 구조

2011년 1월 SK이노베이션 체제가 출범하며 석유사업 및 화학사업을 분사하였고, 2013년 7월, 2개 사업단위(E&P(석유개발), B&I(배터리와 소재))와 5개 자회사(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석유화학, SK트레이딩 인터내셔널)로 나눈 독자경영 체제로 재편되었다. 2021년 10월 1일, SK이노베이션에서 맡던 나머지 2개 사업단위인 배터리와 석유개발을 SK온과 SK어스온으로 분사하였다. 2024년 1월, SK에너지에서 원유, 석유제품 도입 및 출하 업무를 인적분할한 SK엔텀이 9번째 자회사로 출범했다.

 

출처 : SK이노베이션 홈페이지


배터리 부문 주요 경쟁사

세계 배터리 셀 업체는 다음과 같이 동북아 3개국간의 경쟁 구도로 형성되어 있다.
- 한국: LG 에너지 솔루션, 삼성 SDI, SK 이노베이션

- 중국: CATL, BYD
- 일본: 파나소닉

SK이노베이션을 제외한 전세계 탑 5에 해당하는 업체와 각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 CATL : 중국의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세계 최대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1월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31.8%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 글로벌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 : 대한민국의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 1월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20.5%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과 전기차 배터리 소송을 진행한 바 있으며, 2023년 4월에 합의를 완료하였다.
  • 파나소닉 : 일본의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테슬라와의 협력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12.1%로,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테슬라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테슬라의 성장과 함께 배터리 시장에서도 성장하고 있는중이다. 
  • 삼성SDI : 대한민국의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소형 배터리와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2023년 1월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5.8%로,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안전성을 강조하며, 유럽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재무 현황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연간 실적은 사업별로 ▲석유사업 매출 47조5,506억원, 영업이익 8,109억원 ▲화학사업 매출 10조7,442억원, 영업이익 5,165억원 ▲윤활유사업 매출 4조6,928억원, 영업이익 9,978억원 ▲석유개발사업 매출 1조1,261억원, 영업이익 3,683억원 ▲배터리사업 매출 12조8,972억원, 영업손실 5,818억원 ▲소재사업 매출 1,928억원, 영업이익 11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자 공시 참조)

SK이노베이션은 2월 6일 개최한 2023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 연간 매출액 77조2천885억 원, 영업이익 1조9천3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7천684억 원, 영업이익은 2조134억 원 감소한 수치다.

2023년 4분기 매출액은 19조5천293억 원, 영업이익은 726억 원을 달성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천598억 원, 1조4천905억 원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매출액은 3천926억 원 늘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배터리사업의 2023년 연간 매출액은 12조8천9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70% 증가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2023년 말 수주 잔고는 400조 원 이상을 달성해 중장기 가동률 및 수익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워터저널(https://www.waterjournal.co.kr)

단위 (원) 2019 2020 2021 2022 2023
매출 49.3조 34.5조 46.8 78.0 77.2조
영업 이익 11,136억 -24,202억 17,416억 39,173억 19,039억

최근 뉴스

- (2/27) 유안타증권 “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 하향, SK온 지분율 하락 가능성 반영”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3735

 

유안타증권 “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 하향, SK온 지분율 하락 가능성 반영” 

[비즈니스포스트]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가 낮아졌다.배터리사업 자회사 SK온에 대한 지분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반영됐다.자회사 SK온 지분율 하락 가능성을 반영해 SK이노베이션의 ..

www.businesspost.co.kr

- (2/27)  지난해 대기업 자사주 6.4조원 소각…SK이노베이션 1위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641

 

지난해 대기업 자사주 6.4조원 소각…SK이노베이션 1위 - 뉴시안

[뉴시안= 이태영 기자]최근 1년간 자사주를 보유한 대기업 10곳 중 1곳만 자사주를 소각한 것으로 나타났다.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상위 500대 기업내 352개 상장사를 대

www.newsia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