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기업분석) 스마트팜

(스마트팜) 그린플러스

Ever New 2023. 10. 13. 06:09

이력

그린플러스의 사업은 알루미늄사업부문과 스마트팜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미늄 압출작업과 가공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은 산업발전에 따라 전자, 자동차, 항공, 방산 등 산업용 소재로 사용될 만큼 그 용도가 다양화되어 있다. 스마트팜사업부문에서는 최첨단 온실에 적합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기획, 설계, 제작, 시공 등 전(全) 공정이 가능하여 맞춤식 첨단온실의 "one-stop-service"를 구현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형 스마트팜 산업인프라 구축 및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 중 온실분야에 참여하여 해당 지역에 적합한 온실의 설계, 국산온실자재의 제작, 노후화된 온실의 교체 등의 온실의 시공분야와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양액시스템, 환경제어시스템, 자동관수시설 등의 시스템 일체를 제작 설치하는 사업을 운영중이다. 


사업 구조

주요 사업은 알루미늄사업과 스마트팜사업부문으로 구분되며, 건축용과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압출제품의 생산 및 판매와 국내에서 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스마트팜의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알루미늄사업부문

알루미늄 압출업은 가볍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해 압출제품 수요는 산업용 빌딩 건설 등의 활성화로 증가하고 있다. 3대의 압출기를 보유하고 있어서 13인치는 대형각재, 봉재, 파이프 등 대형재품을 생산하고,  7인치와 6인치는 중형, 소형, 온실자재 등과 같이 대형제품부터 소형제품까지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국내 경제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인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소성 및 절삭가공이 우수하여 판, 봉, 관 등 각종 형태 및 제품으로 성형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을 산업용 소재로 한 여러 합금제품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은 비철금속 중에서 산업 경량화의 솔루션으로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자동차 경량화 등으로 인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린플러스 알루미늄 주요 제품  (※ 그린플러스 홈페이지 참조)

  • 전기전자 알루미늄
    • 고정밀도 가공용으로 기존 압연 판재에서 원가절감을 위해 압출용 각재로 빠르게 전환 중이며, 강도 및 절삭성에서 동종업종 선두인 그린플러스만의 기술 노하우로 컴퓨터, 오디오, 냉 난방기, 냉장고, 텔레비전 등 열발생이 많은 모든 가전제품의 방열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 건축용 산업용 알루미늄
    • 고정밀의 LED부품 및 난해한 상업용 부품 등의 생산경험 및 기술 노하우가 풍부한 그린플러스만의 기술로 건축용 내 외장재, 프레임,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옥외 광고판, 공장 자동화 라인, 환자를 위한 병원 복도 벽의 손잡이 가이드레일 알루미늄 다리난간, 온실구조물창호등 산업 전반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중이다.

  • 자동차 방산용 알루미늄
    • 정밀한 압출로 안전과 성능을 최고로 높여주는 그린플러스의 기술로 승용차, 스포츠카, 특장차, 고가사다리차, 고속전철, 비행기, 선박 등 외부충격에 강한 견고하고 안전한 고강도 알루미늄을 생산 중이다.

  • 각종 각재·봉재·파이프
    • 그린플러스는 수년간의 사업으로 확보한 천 여종의 규격화 된 각재 봉재 파이프 금형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형 압출품에서부터 소형 압출품까지 대량 생산하고 있다. 


스마트팜사업부문

스마트팜사업부는 국내에서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스마트팜의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국내 온실은 비닐하우스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농가 형태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통해 스마트팜 운영에 필요한 교육을 위한 보육센터와 다양한 작물을 연구개발하는 실증온실을 건설하고 있으며, 또한 젊은 농업인 육성을 위한 청년스마트팜 정책을 통해 농업의 자주경쟁력 확보와 스마트팜 확산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한국형 스마트팜의 해외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린플러스 스마트팜의 주요 기술 (※ 그린플러스 홈페이지 참조)

  • 양천창 개폐장치 시스템
    • 양천창 방식으로 환기율 60% UP
    •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가볍고 시공이 간편
    • 규격제품으로 기밀성이 탁월하며, 누수걱정이 없음
    • SUS 방충망 설치로 병충해 유입방지가 효과적임

  • 업다운 재배장치 시스템
    • 재배방식의 선진화와 작업 효율성 극대화
    • 다양한 재배거터 금형과 각종 액세서리 보유
    • 국내 최고 품질의 칼라강판 사용으로 내식성 유지

  •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
    •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은 냉수와 온수를 재배 작물의 뿌리주변으로 흐르게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를 구현
    • 시설 전체의 냉난방이 아닌 근권부 냉난방을 통해 에너지 사용을 대폭 절감하고 작물의 성장률을 극대화

  • 500여종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 기존 스텐레스, 플라스틱 패드바의 단점을 보완 (녹이 슬거나 부패를 방지)
    • 알루미늄 재질로 가볍고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
    • 규격제품으로 설치가 쉽고, 보수가 간편함

사업부문 품목 생산(판매)
개 시 일
주요상표 매출액(비율)
제27기 반기 제26기 반기
알루미늄사업 압출 1997.10 그린플러스 13,359 (43.41%) 18,304 (44.42%)
가공 1997.10 그린플러스 2,131 (6.92%) 2,038 (4.95%)
스마트팜사업 온실자재 1997.10 그린플러스 5,102 (16.58%) 6,718 (16.30%)
온실시공 1997.10 그린플러스 7,979 (25.93%) 11,705 (28,40%)
양식사업 장어 2016.02 그린피시팜 1,,706 (5.54%) 2,166 (5.26%)
작물재배사업 딸기 2016.05 그린케이팜 500 (1.62%) 278 (0.67%)

매출 현황

단위 (원) 2018 2019 2020 2021 2022
매출 463.5억 488.3억 627.7억 823.3억 830.0억
영업 이익 51.0억 50.7억 59.3억 50.9억 35.9억

최근 이슈 (기사)

(6/9) 그린플러스, 네오켄바이오와 글로벌 ‘의료용 대마 사업’ 진출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278 

 

그린플러스, 네오켄바이오와 글로벌 ‘의료용 대마 사업’ 진출 - 팜뉴스

그린플러스(대표이사 박영환, 정순태)가 소아 뇌전증 치료제 원료인 CBD(칸나비디올) 등을 생산 기술력과 특허를 보유한 네오켄바이오와 글로벌 의료용 대마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8일 체결했

www.pharmnews.com

(7/27) 그린플러스, 호주 퀸즐랜드大와 스마트팜 R&D 협력 맞손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742 

 

그린플러스, 호주 퀸즐랜드大와 스마트팜 R&D 협력 맞손 - 전기신문

스마트팜 전문 기업인 그린플러스(대표이사 박영환, 정순태)가 호주 퀸즐랜드대(UQ)와 스마트팜 연구개발(R&D)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호주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그린

www.electimes.com

(9/20) 그린플러스 자회사 그린케이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대상 농가 1호 선정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920000094

 

그린플러스 자회사 그린케이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대상 농가 1호 선정

[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그린플러스(대표 박영환, 정순태)는 자회사 그린케이팜(대표 박정기)이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대상 농가 1호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농업분야 온실

newspim.com


 

'투자 > (기업분석) 스마트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팜) 우듬지팜  (3) 2024.08.07
(스마트팜) 대동  (0) 2024.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