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기업분석) 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SAMG엔터
Ever New
2025. 6. 23. 21:30
SAMG엔터테인먼트 2025 상반기 분석
1. 기업 개요
- 설립 : 2000 년 7 월 26 일, ‘삼지애니메이션’으로 출범 후 2021 년 사명 변경
- 사업 : 3D 애니메이션 제작·글로벌 배급, 캐릭터 IP 라이선스·MD, 오프라인 테마 공간 등 통합 OSMU 모델 구축
- 대표 IP : ‘캐치! 티니핑’, ‘미니특공대’ 등. IP 누적 시리즈 23편·라이브러리 1만 분 이상 보유
🔍 현재 ‘티니핑’ 열기 — 숫자와 사례로 보는 6가지 지표
구분 | 핵심 수치·사례 | 의미 |
① 국내 캐릭터 선호도 1위 | 만 3 ~ 9세 아동 대상 조사에서 2년 연속 1위(2024 캐릭터산업백서) koreajoongangdaily.joins.com |
‘뽀로로 세대 교체’ 완료 → 완구·식품·교육 콜라보 협상력이 가장 높다는 뜻 |
② 디지털·글로벌 트래픽 | 유튜브·틱톡·넷플릭스 등 누적 32.3 억 × 10 = 323 억(32.3 billion) 뷰 koreajoongangdaily.joins.com |
캐릭터 IP가 국가 한계를 넘어선 글로벌 팬덤을 확보 |
③ 중국 내 폭발적 조회수 | 현지 스트리밍 플랫폼 35 억 × 10 = 350 억(35 billion) 뷰 기록 en.wikipedia.org |
중국 ‘판호’ 변수에도 이미 대형 IP로 자리매김 |
④ 극장판 흥행 | 첫 영화 《Heartsping: Teenieping of Love》(2024) 관객 124만 명 — 韓 애니메이션 흥행 2위 koreajoongangdaily.joins.com | 극장→완구→OST까지 멀티 레버리지 입증 |
⑤ MD·완구 매진 사례 | 크리스마스 2일 전 ‘캐슬 하우스’ 토이 전국 품절 공지 koreajoongangdaily.joins.com |
‘수집욕 자극’ 설계가 실제 소비로 연결됨을 확인 |
⑥ 후속 시즌 & 이벤트 파이프라인 |
시즌 6 〈Princess Catch! Teenieping〉 2025년 10월 첫 방영 예정 catchteenieping.fandom.com |
신규 캐릭터·상품 라인업 → 인기 모멘텀 이어갈 재료 확보 |
한 줄 정리
지금의 티니핑은 국내 키즈 캐릭터 왕좌를 꿰찬 뒤, 글로벌·멀티플랫폼으로 확장 중인 ‘초고속 성장-IP’입니다. 조회수·극장 흥행·굿즈 매진 같은 질량(팬덤) 지표와 열도(소비 전환) 지표가 동시에 높다는 점이 특징이죠.
2. 실적 트렌드 (연결 기준)
2022 | 2023 | 2024 | 2025 1Q | |
매출(억원) | 683 | 951 | 1,164 |
357 (분기) |
영업이익(억원) | –3.6 | –94.2 |
–61.1 |
+62.9 |
2024 년 4Q 흑자 전환에 이어 2025 년 1Q 영업이익 63 억원으로 완연한 턴어라운드를 확인.
3. 과거 적자 원인 요약
연도 | 핵심 요인 |
2022 | 신규 IP·무형자산 투자 비용 및 파생상품 평가손실 발생 |
2023 | F&B·패션 등 신사업 확장으로 인건비·프로모션비 급증, 직접유통 전환 따른 물류비 부담 |
2024 | ① 재고 확대→재고평가·물류비 손실 ② 대외 경기 불확실성으로 매출 목표 미달 |
4. 최근 주가 급등 트리거
모멘텀 | 세부 내용 |
실적 서프라이즈 | 1Q 매출 +41 % YoY, 두 분기 연속 흑자(영업이익 63 억) |
대형 파트너십 | SM엔터와 K-POP×캐릭터 IP 통합 콘텐츠 MOU 체결(2월 18일) – 타깃 연령층 확대 기대dealsite.co.kr |
기관 수급 | J.P. Morgan 5.22 %·Morgan Stanley 5.28 % 지분 확보 (단순투자)dealsite.co.kr |
5. 사업 구조 & 성장 포인트
- 라이선스 매출 레버리지 : 2024 년 라이선스 매출 211 억원, 전년比 +89 % – 고마진 사업부(판관비 부담↓).
- 제품(완구·MD) : 중국·일본 실적 본격화, 4Q부터 재고 회전율 8.9회로 개선.
- 글로벌 배급 : YouTube·iQIYI·Disney+ 등 플랫폼 다변화로 환율 · 중국 리스크 분산.
- IP 확장 : 최대 5개 신규 IP 론칭 예정, ‘키즈→패밀리’ 시장 확대.
6. 밸류에이션 스냅샷
- 2025E 컨센서스 PER ~10배 – 동종 IP 기업 평균 16배 대비 저평가dealsite.co.kr.
- 1Q 실적을 연율화하면 2025 년 영업이익 250 억 이상도 가능(보수적 가정).
7. 리스크 체크
구분 | 내용 |
콘텐츠 트렌드 | 캐릭터 Cycle 단축 → 신규 IP 흥행 실패 시 실적 변동성 확대 |
중국·환율 | 매출 30 % 이상 중국 의존, 위안화 변동·정책 리스크 |
주가 과열 | 연초 대비 500 %+ 급등, 기술적 과열 구간 진입(이격도 확대) |
🔍 투자자가 할 일 체크리스트
- 분기 실적 발표 시 IP별 매출·재고·수출 지역 비중을 먼저 확인.
- DART 알림 – ① 5 % 지분 변동, ②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공시.
- 지수 리뷰 캘린더 – MSCI(8 월), FTSE(9 월), KOSDAQ150(12 월) 발표 전후 거래대금 급증 여부.
- 환율·CNY 정책 – 위안화 6.5 CNY/KRW 돌파 & 판호(版号) 동향 모니터링.
- 콘텐츠 선행 지표 – 유튜브·디즈니+ 시청 뷰·중국 완구 발주량.
요약: SAMG엔터는 도약 단계지만, 매출 대부분이 ‘키즈 프리미엄 소비재’에 묶여 있습니다. 경기·환율과 IP 생명주기 변수가 동시에 엮여 있어 리스크 관리 = 매출 다각화 + 재고·현금흐름 통제가 핵심입니다. 투자 시 위 캘린더·수급 지표를 병행해서 보세요.
8. 투자 전략 (6/23, ChatGPT 분석 기준)
시나리오 | 매수 구간 | 비중 | 코멘트 |
단기 트레이딩 | 20일선 근접 (8.0~8.5만원) | 30 % | 수급·거래량 확인 후 스윙 관점 |
중-장기 분할 | 6.5~7.0만원 1차, 5.5~6.0만원 2차 | 70 % | PER 8배 이하 밸류 매력·실적 모멘텀 동시 확보 |
목표가 11만원(전고점 64,000원 대비 추가 70 %), 손절가는 5만원(200일선) 제시.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 책임입니다.
9. 결론
SAMG엔터는 ① 지속적 IP 파이프라인, ② 비용 구조 정상화, ③ 글로벌 파트너십이라는 세 가지 축으로 턴어라운드 궤도에 진입했습니다. 1Q 실적로 실체를 증명했고, 기관 러브콜과 SM엔터 협업이 성장 스토리를 강화합니다. 단기 변동성에 유의해 분할·중장기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K-콘텐츠 대표 캐릭터 업체의 재평가 구간을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